재테크 정보

빔코인이 업비트에 상장되면서 기대되는 이유

노마드메이 2024. 6. 2. 03:05
반응형

출처: 빔코인

 

안녕하세요 여러분! 오늘은 빔코인(BEAM)이 업비트에 상장되면서 기대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최근 몇몇 밈코인들이 업비트 상장을 통해 큰 가격 상승을 경험한 사례들을 바탕으로, 빔코인 역시 상장 후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.


빔 코인이란?

Beam은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암호화폐로, 거래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Mimblewimble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 2018년 3월에 출시된 Beam은 디지털 금융 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Beam은 거래, 사용자 신원 및 계좌 잔액을 보호하여 공공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익명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.

빔 코인의 시세 및 시가총액

2024년 6월 현재, Beam 코인의 가격은 $0.029에서 $0.036 사이에 거래되고 있으며, 시가총액은 약 $5.4 백만 달러입니다. 최근 24시간 거래량은 약 $114,000로,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​.

 

출처: 빔코인

 

기술적 특징

  1. Mimblewimble 프로토콜: 이 프로토콜은 거래의 기밀성을 보장하고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개선합니다. 모든 거래 금액은 암호화되어 있으며, 트랜잭션 입력과 출력이 합쳐져 트랜잭션 크기가 줄어듭니다​​​​.
  2. LelantusMW 프로토콜: 이 프로토콜은 추가적인 익명성을 제공하며, 사용자들이 자신의 거래 히스토리를 숨길 수 있게 해줍니다​​.
  3. Equihash PoW 알고리즘: 빔은 Equihash 작업 증명(PoW)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합니다. 이 알고리즘은 ASIC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채굴의 탈중앙화를 촉진합니다

 

출처: 코인마켓캡

 

전망

  1. 프라이버시 중심 DeFi 플랫폼으로의 성장
    • 빔은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DeFi 플랫폼으로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. 이는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​​.
  2. 확장성과 유연성
    • 빔의 기술적 기반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거래 유형을 지원합니다. 이는 빔이 더욱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​​.
  3.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
    • 빔의 커뮤니티는 활발하며, 지속적인 피드백과 참여를 통해 프로젝트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. 이는 빔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​​.
  4. 미래 기술 통합
    • 빔은 향후 Lightning Network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통합하여 거래 속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. 이는 빔의 실용성과 경쟁력을 더욱 높일 것입니다​​.
  5. 시장 확대
    • 빔은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,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. 또한, 새로운 파트너십과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

 

업비트는 한국에서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, 상장된 코인은 즉각적으로 많은 거래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유동성 증가로 이어져 코인의 가격 안정성과 상승 가능성을 높입니다. 그리고 업비트에 상장된 코인은 그 자체로 신뢰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간주됩니다.  예를 들어, Akash Network(AKT)는 업비트 상장 후 48% 상승하며 일일 거래량이 1,560% 증가했습니다​​​​. 이외에도 BigTime(BIGTIME), ZetaChain(ZETA), OMNI Network 등이 상장후 시세와 일일거래량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  업비트는 사용자기반이 매우 크기 때문에, 상장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에게 노출되며 커뮤니티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. 빔코인도 상장 후 유사한 거래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

 

 

 결론적으로, 빔코인은 업비트 상장을 통해 거래량 증가, 인지도 및 신뢰도 향상, 커뮤니티 확대, 시장 접근성 향상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 

* 이 포스팅은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.

출처: 빔코인, 코인마켓캡, 코인저널, 크립토뉴스

반응형